본문 바로가기
서초동 생할정보/법률 정보

성년후견인제도 : 후견계약서 작성 시 꼭 포함해야 할 필수 항목 [종합법률정보]

by 카르페디엠 0202 2025. 9. 24.

성년후견인제도, 후견계약서 작성시 꼭 포함해야 할 필수 항목, 변호사 상담, 종합법률정보

 

후견계약서는 정신적 제약이 예상되거나 자발적으로 후견을 원하는 사람이 후견인을 지정하는 법적 문서입니다.

계약서에 핵심 사항을 누락하거나 모호하게 작성하면 법적 분쟁이나 권리 침해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다음 항목들을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 계약 당사자의 정보


  • 피후견인(소유자): 이름, 주소, 연락처, 신분증 사본
  • 후견인: 이름, 주소, 연락처, 신분증 사본
  • 관계: 두 사람의 관계 (가족, 친구, 전문가 등)

※ 왜 중요할까요?

: 당사자의 신원을 명확히 해 향후 분쟁 시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합니다.


◇ 후견인의 권한과 역할


◆ 대리권 범위 :

  • 재산 관리 (예: 예금, 부동산, 주식)
  • 의료 결정 (예: 입원, 수술 동의)
  • 법률 행위 대리 (예: 계약 체결, 소송 제기)

◆ 제한 조건 :

  • 후견인이 임의로 결정할 수 없는 사항 명시
  • 예: "고액 자산 매매 시 피후견인의 서면 동의 필요"

※ Tip : "모든 사무 대리"보다 구체적 예시를 들어 명시해야 분쟁을 예방합니다.


◇ 계약 기간과 갱신 조건


  • 유효 기간: 계약 시작일과 종료일 또는 기간 (예: "2025년 9월 20일부터 2030년 9월 19일까지")
  • 갱신 절차: 만기 시 연장 방법 (서면 합의, 법원 승인 등)

◇ 피후견인의 권리 보호 조항


  • 해지 권한: 피후견인이 원할 때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조건
  • 감독 기관 지정: 계약 이행을 감시할 제3자 (변호사, 사회복지사 등)
  • 손해배상: 후견인이 직무를 소홀히 할 경우의 책임 규정

◇ 법적 승인 및 공증


  • 가정법원 승인: 후견계약서는 법원의 허가를 받아야 효력이 생깁니다.
  • 공증 권장: 계약서 공증을 통해 법적 증거력을 강화합니다.

◇ 기타 필수 사항


  • 비밀유지 의무: 후견인이 피후견인의 개인정보를 외부에 유출하지 않을 의무
  • 위약금 조항: 계약 위반 시 적용될 벌칙
  • 법적 변경 반영: 「민법」 개정 시 계약 내용을 재검토하는 절차

◇ 계약서 작성 시 주의사항


  • 모호한 표현 금지: "적절히 관리한다" → "월 1회 금융 계좌 잔고를 보고한다"처럼 구체화.
  • 가족 협의: 후견인 지정으로 인한 갈등을 예방하려면 사전에 가족과 논의.
  • 전문가 검토: 변호사나 법률구조공단에 계약서를 검토받아 법적 타당성 확인.

◇ 예시 표 : 후견계약서 핵심 항목 요약


항목 포함 내용
당사자 정보 피후견인·후견인의 성명, 주소, 연락처
후견인 권한 재산 관리, 의료 결정 등 구체적 역할
계약 기간 시작일, 종료일 또는 기간 명시
피후견인의 권리 보호 해지 권한, 감독 기관 지정
법적 절차 법원 승인, 공증

 

후견계약서는 피후견인의 권리와 후견인의 책임을 명확히 규정하는 생애 중요한 문서입니다.

위 항목들을 꼼꼼히 기재하고, 법적 검토를 거친 후 공증받으면 안정적인 후견 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정신적 제약이 있는 당사자의 경우,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공정성과 실효성을 확보하시길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