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초동 생할정보/법률 정보

상속세 계산 방법 예시와 단계별 설명 [종합법률정보]

by 카르페디엠 0202 2025. 9. 20.

상속세 계산방법, 상속세 절세 방법, 유산 상속, 변호사 상담, 종합법률정보

 

상속세는 사망으로 인해 재산이 가족이나 친족에게 이전될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복잡한 계산 과정 때문에 혼란스러울 수 있지만, 단계별로 차근차근 따라가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예시를 통해 상속세 계산 방법을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 상속세 기본 개념


1. 정의

  • 사망한 사람의 재산(부동산, 현금, 주식 등)이 상속인에게 이전될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2. 공제 한도

  • 기본 공제: 5억 원 (2025년 기준)
  • 추가 공제 항목: 금융재산 공제, 미성년자/장애인 공제 등이 있음.

3. 신고 기한

  • 상속 개시일로부터 6개월 이내 (예: 5월 10일 상속 → 11월 30일까지 신고).

◈ 상속세 계산 5단계


 [ 1단계 ] : 상속재산 총액 계산 

 

: 모든 상속재산을 합산합니다.

 

[예시]

  • 아파트 시가: 10억 원
  • 예금: 3억 원
  • 토지 공시지가: 2억 원
  • 총액 = 10억 + 3억 + 2억 = 15억 원

 [ 2단계 ] : 비과세 재산 제외 

 

: 국가나 공익단체 기부금, 장묘 시설 부지 등은 과세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예시]

  • 장묘 시설 부지 1억 원 제외 → 15억 - 1억 = 14억 원

 [ 3단계 ] : 기본 공제 적용 

 

: 과세가액에서 5억 원을 공제합니다.  

 

[예시]

  • 과세가액 = 14억 원 - 5억 원 = 9억 원

 [ 4단계 ] :세율 적용 

 

: 누진세율 구조로, 구간별 세율을 적용해 계산합니다.

 

[세율 구간] 2025년 기준

  • 1억 원 이하: 10%
  • 1억 초과 ~ 5억 원 이하: 20%
  • 5억 초과 ~ 10억 원 이하: 30%
  • 10억 초과 ~ 30억 원 이하: 40%
  • 30억 원 초과: 50%

[예시 계산]

  • 1억 원 × 10% = 1,000만 원
  • (5억 - 1억) × 20% = 8,000만 원
  • (9억 - 5억) × 30% = 1.2억 원
  • 총 세액 = 1,000만 + 8,000만 + 1.2억 = 2.1억 원

 [ 5단계 ] : 세액 공제 반영 

  • 기타 공제: 금융재산 공제, 동거주택 공제 등 적용 시 세액에서 차감합니다.
  • 예시: 금융재산 공제 5,000만 원 적용 → 2.1억 - 0.5억 = 1.6억 원

◈ 절세 팁


1. 사전 증여 활용

  • 10년 내 증여 재산은 상속세 합산되므로, 10년 주기로 분산 증여합니다.

2. 공제 항목 최대화

  • 동거주택 공제(6억 원 한도), 장애인 공제 등을 꼼꼼히 적용합니다.

3. 재산 평가 방식 선택

  • 아파트는 실거래가보다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평가하면 세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비상장주식은 순자산가치로 평가해 절세가 가능합니다.

◈ 신고 시 필요 서류


  1. 상속세 과세표준신고서
  2. 상속재산 평가명세서
  3. 유언장 사본 (있을 경우)

 



상속세는 재산 규모와 공제 항목에 따라 세액이 크게 달라집니다.
복잡한 계산이 부담된다면 
세무사 상담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또한, 상속 계획 단계에서 
증여 신탁을 활용해 세 부담을 미리 줄이는 전략도 고려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