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초동 생할정보/법률 정보

전동킥보드 안전하게 타기 : 법률적 주의사항과 위반 시 처벌 [종합법률정보]

by 카르페디엠 0202 2025. 9. 14.

전동킥보드 안전수칙, 전동킥보드 면허, 위반시 처벌, 변호사 상담, 종합법률정보


 ◆ 전동킥보드의 법적 지위 : '원동기장치자전거' 

전동킥보드는 도로교통법상 ‘원동기장치자전거’로 분류됩니다.

이는 자동차나 오토바이와 동일한 규제를 받는다는 의미입니다.

주요 법적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면허 필요: 2종 원동기장치자전거 이상 운전면허 보유 필수 (16세 미만 미성년자 운전 금지).
  • 주행 가능 도로: 원칙적으로 차도 우측 가장자리로만 주행 가능 (자전거도로 이용 제한, 인도 주행 금지).
  • 속도 제한: 정부 시범사업 기준 최고 속도 20km/h로 강화 예정 (기존 25km/h).

 ◆ 꼭 지켜야 할 법률적 사항 

1. 음주운전 절대 금지

  • 혈중알코올농도 0.03% 이상 시 음주운전으로 처벌됩니다.
    (예: 벌금 최대 1,000만 원 또는 징역 1년 이하)

2. 무면허 운전 시 처벌

  • 무면허 운전 적발 시 1년 이하 징역 또는 300만 원 이하 벌금.

3. 주차 규칙 준수

  • 지정 주차구역 외 방치 시: 최대 10만 원 과태료 부과 가능 (서울시 조례 기준).
    (킥보드 전용 주차구역 또는 업체 지정 구역 이용 권장)

4. 안전장비 필수 착용

  • 헬멧 미착용 시: 20만 원 이하 과태료 부과 (2024년 8월 기준 일부 지자체 시행 중).

 ◆ 위반 시 처벌 사례 

  • 음주운전 + 사고 발생:
    혈중알코올농도 0.209% 상태에서 사고를 낸 경우, 벌금형 집행유예가 선고되기도 하나, 중상해 시 징역형 가능성 높음 (서울중앙지법 2019 고정 2250 판결 참조).
  • 무면허 + 뺑소니:
    민사책임으로 치료비·위자료 전액 배상 및 형사처벌 병행 가능성.
    (공유 킥보드 이용 시 약관에 따라 민사책임 전가될 수 있음)

 ◆ 안전한 이용을 위한 필수 수칙 

  1. 사전 점검: 배터리 상태, 타이어 공기압 확인 후 탑승.
  2. 보행자 우선: 인도 주행 자제, 횡단보도에서는 하차 후 이동.
  3. 속도 조절: 주변 환경에 맞춰 20~25km/h 이하로 주행.
  4. 야간 주행: 반사경 또는 조명 장치 부착 필수.
  5. 주차 예절: 보행자 통행 방해되지 않는 곳에 주차.

 


 
법률 준수와 안전 의식이 생명을 지킵니다

전동킥보드는 편리하지만, 자동차와 동일한 규제를 받는 교통수단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단속 강화와 처벌 수위가 높아지는 만큼, 면허 취득 안전 장비 착용, 법규 준수를 생활화합시다.
이용자 스스로가 책임감을 가질 때, 전동킥보드는 진정한 스마트 모빌리티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